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복지영상 www.visualwelfare .net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복지영상 www.visualwelfare .net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471)
    • 사회복지영상 (302)
      • 사회적기업 - 자활 - 협동조합 (20)
      • 영상제작스토리 (71)
      • 촬영스크립트(tape프리뷰) (44)
      • 노숙인 (5)
      • 장애인과 일, 공연, 문화, 일상 (19)
      • 사회복지아카이브-역사기록 (19)
      • 지역사회복지 (18)
      • 노인어르신 (11)
      • 다문화 (8)
      • 우리아이희망네트워크 - 시소.. (6)
      • 지역아동센터 (9)
      • 인식개선 (10)
      • 그룹홈 (6)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행정복.. (11)
      • 장면으로 보는 사회복지 (1)
      • 자원봉사 (2)
    • 미디어교육,비디오웍샵 (17)
    • 원고-카메라를든사회복지사 (76)
    • 프리뷰-사회복지컨텐츠 (5)
    • 아이디어정리 (10)
    • 3Radio우리는한가족(2000~2004) (46)
    • 사진으로 만나는 사회복지 (0)
    • 네팔, 팔레스타인 KOICA, (15)
  • 방명록

아이디어를 촬영대본으로 만들어주기 - 작가의 도움이 필요해

사회복지현장에서 온라인으로 서비스를 계획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카메라를 수강생 삼아 교육을 진행하는 강사와 프로듀서 역할을 하는 실무자들이 급한대로 사회교육 콘텐츠부터 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촬영하는 방법, 찰영할 장비, 진행할 사람, 출연 하는 사람... 모두가 어색하고 처음하는 일이지만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는 모습을 응원하며 그 노력이 빛을 발할 수 있도록 저도 생각을 보태보려 합니다 2020년 9월 25일 '당진북부사회복지관' 에서는 찾아가는 노래교실 이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알지 못하지만, 처음 아이디어를 이야기 할 땐 노래교실 강사가 회원을 찾아가서 삶의 이야기를 듣고 그 분의 삶에 맞는 노래를 처방한다는 콘셉이었는데요 모여서 노래하는 '노래교실' 프로그램의 형식도 다시..

원고-카메라를든사회복지사 2020. 9. 18. 08:36
사회복지 가치전환과 복지행정의 역할변화

사회복지 가치전환과 복지행정의 역할변화 안녕하세요? 저는 카메라를 들고서 사회복지 현장의 다큐멘터리 작업을 하는 사회복지사입니다. 2002년부터 사회복지현장을 방송으로, 리포터로, 다큐멘터리 기록자로 홍보콘텐츠를 제작하는 입장으로 복지를 둘러싼 민관의 여러 서비스를 접하다 보니 오늘 이 자리에서 강의를 하게 된 것 같습니다 아마 오늘 강의는 영화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처럼 사회복지현장을 영상으로 같이 탐방 다니고, 복지행정이 어떻게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밀접하게 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지나온 시간과 작품을 둘러보니 이 강의를 위해서 였는지 몰라도 2005년부터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 5주년' 영상을 비롯해 2018년 서울시의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영상까지 여러 지자체의 복지행정 서비스를 보면..

사회복지영상/찾아가는 동주민센터-행정복지-공공영역 2020. 8. 29. 19:12
코로나이후의 사회복지교육을 상상하다

코로나이후의 사회복지교육을 상상하다 영상제작자의 입장에서 https://youtu.be/P2bDJ5Bmdbg 안녕하세요? 복지영상의 이성종입니다. 저는 영상을 제작해서 상영하거나, 사람들에게 쉬운 카메라 사용법을 강의하는 게 주된 일이었습니다. 요즘은 사람들을 모아놓고 하던 일상들을 영상으로 대체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방법을 고민하는 게 거의 모든 일이 되어 버렸습니다. 연극협회의 한 달 공연 축제를 온라인으로 대체하는 일 이미 섭외된 강사를 찾아가서 교육과 인터뷰와 현장스케치를 겸한 형식의 영상콘텐츠를 만들어 본 일 강사의 기존 강의를 온라인 교육에 맞게 영상구성을 돕는 일 기존의 행사를 대신 할 아이디어를 영상 기획으로 대체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저는 2002년부터 영상이 자연스럽게 ..

원고-카메라를든사회복지사 2020. 8. 17. 12:56
뭐부터 찍어야 할지 모를 땐 3인칭 시점부터

뭐부터 찍어야 할지 모를 땐 3인칭 시점부터 '그곳에 이곳에 그들이 있어' 여러분이 있는 곳을 3인칭 시점으로 표현해 보세요 저는 지금 탐앤탐스 커피숍에 큰 딸과 앉아서 창가에 앉아 음료를 마시고 있습니다. 이 장면을 3인칭 시점으로 표현하려면 누군가 다른 사람이 멀리 떨어져서 촬영해야 표현됩니다 삼각대와 리모콘이 있으면 도움이 되겠죠 커피숍의 밖에서 간판과 장소를 알 수 있는 멀직이 떨어진 위치에서, 혹은 와이드 카메라로 촬영합니다 커피숍 안에선 실내의 대부분이 보이는 위치에서 촬영합니다 3인칭 시점은 시청자의 입장에서 여유를 갖고 화면을 바라보게 합니다 화면에 등장하는 사람의 이름은 알 순 없지만 공간과 사람이 어떤 환경 속에 있는지 한 눈에 알 수 있게 됩니다 같이 어딘가로 출발한다거나 여기가 어디..

원고-카메라를든사회복지사 2020. 5. 7. 09:27
[영상단어]관계가 드러나는 전화통화

사회복지기관에서 전화로 하는 서비스 잘 기록하고 계신가요? (코로나 19 예방조치로 기관을 폐쇄하는 요즘, 전화로 많은 일들을 하고 있을 텐데 그 현장감을 잘 전달 할 수 있게 기록해보세요) 반복되는 서비스야말로 기관의 핵심일텐데, 그 모습을 사진과 영상, 목소리, 글과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도록 관찰하고 가치를 담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낯선 사람과의 첫 통화가 아니라 목소리를 알아차리는 사이의 전화통화는 관계가 이어져 있는 통화입니다 안부를 여쭙기도 하고 직접 만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몸과 마음의 상태를 알아차릴 수 있는 신호를 주고 받는 순간인 것입니다 상담이 될 수 도 있고, 사고의 예방이 될 수 있고, 가정 방문같은 서비스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 독거노인지원센터의 전화업무 # 전화..

원고-카메라를든사회복지사 2020. 2. 19. 15:32
장애인 콘텐츠로 소통하기

장애인 이야기가 아니라, 이야기가 있는 장애인 사진으로, 목소리로, 영상으로 무언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이야기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야기 할 내용이 없다면 손에 아무리 훌륭한 방송장비가 들려 있다 해도 깜박이는 커서 앞에서 글 한 줄 써 내려가지 못하는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소지자 같을 겁니다. 오히려 이야기를 가지고 있으면 누군가 글로 옮겨 줄 수 있고, 서툰 사진과 영상이라도 이야기를 품고 있으면 그만의 세계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2002년 처음 영상콘텐츠를 만들 때 부터의 장애인 복지 분야의 촬영을 하면서 쌓은 경험을 이야기 하고, '나도 해보고 싶다' 는 생각을 할 수 있게 하는 강의입니다. 프리젠테이션 영상자료 받기

원고-카메라를든사회복지사 2019. 5. 17. 08:01
사회복지사들의 영상단어 읽기 , 쓰기, 발표하기

사회복지사들의 영상단어 읽기 , 쓰기, 발표하기 1. 좋은 내용, 실제가 있어야 합니다. 내 안의 보물이 무엇인지 볼 수 있는 눈이 있어야 합니다. 의미도 없고 실제하지 않는데좋게 보여주려고 하는 경우는 거짓입니다 새롭게 시작하려는 사업을 홍보하기 위해이미지를 차용, 연출하거나비슷한 사업을 기록해 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앞으로 하려는 의지가 그만큼 있고, 실행해야 합니다. 화려한 계획만 있고행동과 실제가 없는 경우에는 차기에 또 계획을 발표할 땐 신뢰가 가지 않는 영상이 됩니다. 선거영상도 첫 출마영상이 만들기 쉽지재선을 위한 영상은 만들기 어렵습니다. 자신의 임기동안 약속을 어떻게 지켰는지를 보여주는 것 없이다시 약속만 하면 신뢰가 가질 않기 때문입니다 실체는 없는데홍보만 잘하면 '동물권단체 케어'같이 ..

원고-카메라를든사회복지사 2019. 2. 21. 12:15
무지개빛 청개구리 영상교육 ‘나의 영상 단어집’ 2019년 2월 12일,19일,26일

무지개빛 청개구리 영상교육‘나의 영상 단어집’ 2019년 2월 12일,19일,26일 3시간 3회 교육 기획의도 손안의 방송 도구인 스마트폰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나의 목소리와 시선을 표현하며 동네의 보물을 발견한다. 목표 스마트폰의 미디어를 쓰는 기능(사진촬영, 동영상 녹화, 녹음)을 익숙하게 다루게 된다. 나의 생각, 시선, 목소리를 미디어로 표현하는 시간을 갖는다. 소규모 상영회나 출판, 전시회를 통해 개인, 사회와 소통한다. 내용 See – Look – Find – Feel 눈에 보이는 것에서 관찰하고, 상상하고, 속사정을 알게 되면서 새롭게 발견하고, 상대방 입장을 공감하는 이미지를사진과 영상, 소리를 이용해 나의 시선이 담긴 콘텐츠로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게 한다. 교육과정은 3회로 한 주간동안..

미디어교육,비디오웍샵 2019. 1. 23. 15:46
이전 1 2 3 4 ··· 59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아이디어를 촬영대본으로⋯
  • 사회복지 가치전환과 복지⋯
  • 코로나이후의 사회복지교⋯
  • 뭐부터 찍어야 할지 모를⋯
최근에 달린 댓글
  • 미륵(강증산)을 기다리는 카⋯
  • 서로가 서로를 바라보는 시간⋯
  • 안타깝게도 저도 초대장을 보⋯
  •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Total
113,422
Today
54
Yesterday
9
링크
  • 복지영상 유튜브 가기
  • '공감하는 카메라' 이감동 블⋯
  • 사회복지정보원
TAG
  • 노숙인이 사는 법
  • 기초생활보장제도
  • 디딤터
  • 심한기
  • 노숙인에게 다가가기
  • 장애인 이웃
  • 카메라에 시점을 담자
  • 이성종
  • 복지영상
  • 길위의 사람들
  • 장애인 고용
  • 이대성산복지관
  • 내 고향은 서울역
  • 서울복지재단
  • 희망온돌
  • 품청소년문화공동체
  • 장애인 일자리
  • 강명숙
  • 참맑은물살캠프
  • 바람의 영혼 안치환
  • 살기좋은 성산마을
  • 예심하우스
  • 우리들의 행복한 여행
  • 노숙인과 자전거 이야기
  • 경기도사회복지사대회
  • 청주교구청
  • 바람의 영혼
  • 다누리콜센터
  • 노숙인 대학가다
  • 인식개선
more
«   2021/01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0/09 (1)
  • 2020/08 (2)
  • 2020/05 (1)
  • 2020/02 (1)
  • 2019/05 (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