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카메라를든사회복지사 79

사회복지사 파워인터뷰-사회복지사 이성종

사회복지사 파워인터뷰 사회복지사 이성종(복지영상 대표/www.visualwelfare.net) http://www.sasw.or.kr/board/Board_View.asp?BoardType=welfare&RecordNo=4165 사회복지 현장을 영상으로 기록하고 있는 사회복지사가 있다. 카메라와 캠코더를 가지고 다니며 민첩하게 현장의 순간을 포착하는 복지영상의 이성종 사회복지사. 그는 사회복지기관에 소속하지 않고, 여러 복지기관들과 계약 맺고 영상물을 제작하며 독자적으로 활동하는 프리랜서이다. 그는 SBS방송아카데미를 수료한 후 기관 영상을 맡아주면 어떻겠느냐는 제의를 받기 시작했다. 계약을 위해서는 사업자등록이 필요했고,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사업자등록을 하고, 영상장비들을 마련해서 일을 시작했다고..

최종 완성된 짧은 영상물보다 더 가치 있는 것은...

하나의 과정이 기록된 과정물이라는 생각이 요즘들어 간절합니다. 포스코 무료간병 사업을 촬영, 압축해서 완성된 동영상은 5분정도 분량이지만, 각 간병사들의 케이스별로 기록된 상당한 분량의 간병과정에 대한 스케치는 요양보호사들에게 재가 간병 서비스를 설명할 때 무척 생생한 자료가 됩니다. 농촌 재가 장애인 가족에게 하는 간병서비스 모습을 보면서 중간 중간 코멘트를 달면서 이럴땐 이렇구, 저렇구 설명을 하면 훨씬 교육 효과가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복지영상은 모든 영상을 만들때 대본에 의해서 필요한 장면만 선택해서 촬영, 연출 한 것이 아니라 사회복지현장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촬영하는 순간만큼은 최선을 다해 기록했기에 이제 그 활용할 용도가 무궁무진함을 느낍니다. 작성일 : 2008/06/..

회장, 대표, 연애인 등 인터뷰에서 형식적이지 않게하기

1. 모르는 것에 대해서, 상관없는 사람들에게 인터뷰를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알지도 못하는 일과, 사람들에 대해서 축하메세지를 해달라고 하는 것 만큼 무례한 것은 없다는 생각입니다. 2. 관심은 있고, 도와주고 싶은데 잘 모르는 경우에는 최대한 해당 자료를 준비해서 미리 이해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갖습니다. 잠깐동안 보고 이해할 수 있는 동영상을 준비해 간다거나... 3. 미리 대본을 준비해놓고 읽으려 하는 경우 무조건 준비된 대로 인터뷰 내용을 담으려 하는 것 보다는 인터뷰 하는 목적에 맞는 것인지 내용을 분석해 가며 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용중에 혹시 문어체로 씌어져 있어서 자연스럽지 않거나, 행사 내용과 상관없는 내용은 가급적 없도록 유도하고 정확한 정보에 입각해서 작성되었는지 확인하..

2008 "사회복지 미디어 제작" 실습 안내 - 복지영상

"사회복지 미디어 제작" 실습 안내 - 복지영상 2008년 7월 16일 ~ 8월 14일 까지 2008-visualwelfareTraining.hwp 사회복지의 역사를 기록한다는 사명으로 2002년부터 시작되 온 복지영상은 2008년 사회복지현장 실습의 일환으로 '사회복지 미디어 제작' 실습을 진행합니다. 이번 실습을 통해 사회복지현장에서 점점 많아져 가는 미디어제작 욕구에 대응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고, 사회복지다큐멘터리 기록의 구심점이 되려 합니다. 낮은곳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사회복지현장에 '미디어' 라는 훌륭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 실습생들은 미디어제작 도구인 비디오카메라, 디지털카메라, 영상편집 소프트웨어를 익숙하게 다루게 되며, 관계중심의 촬영기법과 ..

카메라를 가진 사람은 시인입니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차 있습니다. .... 별 하나 하나를 바라보며 보고싶은 이름과 추억을 시로 표현했던 윤동주의 시는 저의 어린시절 책장에서 인상깊게 남아있습니다. 특별히 시를 좋아하고, 시인이 되려한건 아니지만, 어느날 문득 하늘의 별을 바라보다 어려운 별자리를 찾는 것이 아니라 나만의 별자리를 만들며 별 하나 클릭하면 생각나는 이야기들을 담아놓아야지 하는 저의 모습을 발견하고 옛날 윤동주 시인이 생각났습니다. 이렇게 시인 이야기를 하는 것은 똑같은 별을 보고, 달을 보아도 어떤 사람의 눈에는 하늘이 어둡구나, 대기 오염이 심각하군...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별헤는 밤과 같은 시를 쓰는 사람이 있는것처럼 사회의 현상을 보면서 관심을 가지고 그 현상과 나와의 관계, 혹은 ..

인문학 강좌 - 공감 '사회복지 다큐멘터리 이야기'

안녕하세요? 저는 카메라를 든 사회복지사 이성종입니다 인문학 강좌라는 생소한 자리를 통해서 저의 일을 다시 정리하며 여러분과 함께 나눌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사회복지에는 수많은 분야가 있지만, 사회복지를 배우면서도 관심을 두지 않는 영역 외에는 막연한 두려움을 가졌던 기억이 납니다. 여러분에게는 사회복지라는 것이 어떻게 다가오나요? 장애인복지,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여성복지, 의료보험제도, 국민연금, 노인요양보험, 고아원, 장애자, 불쌍한 사람 도와주기, 종합사회복지관, 양로원, 요양원, 부랑인보호소, 공공근로, 유니버설디자인,다운증후근, 자폐, 자원봉사, 노숙인, 구걸하는 사람,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독거노인, 조손가정, 장애인 차량, 휠체어,..

원고 작성을 위한 아이디어들..

아이디어들.. [가제 ; 사회복지 미디어 제작론 / 카메라를 든 사회복지사 / 관계를 담는 카메라 ] 1장. 관계를 담는 카메라 - 카메라로 사람을 만나는 인간관계론 - 다양한 사람들을 이렇게 만났습니다. 경험을 공유하면서 작은 원칙과 팁을 알려준다. - 예)정신장애인을 만나서 촬영을 했던 경험 - 2장. 세상을 아름답게 바라보는 연습 / '꺼리'를 알아차리기 / 시선 / 사랑 가득한 눈을 가지세요 3장. 카메라에 익숙해 지기 -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의 공통점 - 디지털 카메라의 알아야 될 것들 - 캠코더 촬영기법 - 카메라를 구입하려는 사람들에게 4장. 스토리는 인터뷰속에 다 있다. - 인터뷰만 잘해도 멋진 이야기가 나온다. 5장. 기계들과의 한 판 승부 - 빔프로젝터 - 노트북 - TV - 노래방기..